본문
|
한국의 서원
경북 안동,경북 영주,경북 경주,경남 함양군,대구광역시 달성군,충남 논산,전북 정읍,전남 장성군
2019
(도산서원,병산서원,소수서원,옥산서원,남계서원,도동서원,돈암서원,무성서원,필암서원)
![]() 한국의 서원은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 시설의 한 유형으로,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에까지 향촌 지식인인 사림에 의해 건립되었다. 영주 소수서원, 함양 남계서원, 경주 옥산서원, 안동 도산서원, 광주 필암서원, 대구 도동서원, 안동 병산서원, 정읍 무성서원, 논산 돈암서원의 전국에 분포한 9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서원은 한국 서원의 특성과 발전을 보여주며, 건축적으로 어떠한 과정을 통해 발전하였는지 각각의 과정을 통해 보여준다. 향촌 지식인들은 서원에서 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교육 체계를 갖추고 성리학 경전과 연구를 수행하였고, 세계에 대한 이해와 이상적 인간형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들은 향촌사회의 선현들을 제향하였고, 제향인물을 통해 강한 학문적 계보를 형성하였다. 또한, 향촌 지식인들은 이 유산을 기초로 다양한 사회적·정치적 활동들을 통해 성리학이 사회 전반에 전파되는데 기여하였다. 서원은 필수 공간 요소인 제향공간, 강학공간, 교류와 유식공간을 구성하는 각 건축물뿐만 아니라 원래의 지형, 주변환경을 온전하게 유지하고 있다. 서원은 기록유산, 무형유산에 속하는 것들도 잘 보존, 전승하고 있다. 서원을 거쳐간 인물들이 남긴 전적, 문집, 기문, 목판 등은 잘 보호 관리되고 있으며, 제향은 지금까지 창건 당시의 모습 그대로 계승되어 시행되고 있다.
|